당신의 붕괴된 성벽은 무엇인가요?
우리 삶에는 때때로 완전히 무너진 영역들이 있습니다.
심각한 위기.
모든 것을 잃은 듯한 절망.
회복 불가능해 보이는 상황.
그럴 때마다 우리는 생각합니다.
"이건 정말 끝났어. 다시는 회복될 수 없어."
2500년 전, 한 남자도 이와 똑같은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그의 이름은 느헤미야. 그가 마주한 무너진 것은 예루살렘의 성벽이었습니다.
포로의 땅에서 피어난 희망
바벨론, 왕의 술 맡은 자의 고민
페르시아 왕궁. 엄격한 왕궁 규율이 지배하는 공간.
그곳에서 술 맡은 자로 일하는 느헤미야는 언제나 미소 지어야 했고, 왕의 기분을 살펴야 했습니다.
하지만 어느 날, 형제들로부터 소식이 전해집니다.
"예루살렘이 황폐해졌어요. 성벽은 허물어졌고, 성문은 불타버렸습니다."
그의 마음이 무너졌습니다. 조상의 도시, 그의 뿌리였던 예루살렘이 완전히 파괴되어 있었던 것입니다.
기도와 결단의 순간
느헤미야는 그날 밤, 깊은 통곡과 기도로 하룻밤을 보냈습니다.
"이제 종이 주의 종 이스라엘자손을 위하여 주야로 기도하오며이스라엘자손의 주 앞에 범죄함을 자복하오니주는 귀를 기울이시며 눈을 여시사 종의 기도를 들으시옵소서나와 나의 아비 집이 범죄하여"
- 느헤미야 1:6 (개역한글)
그의 기도는 단순한 슬픔이 아니었습니다.
절망 속에서 희망을 발견하려는 결단의 기도였습니다.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드는 리더십
왕에게 호소하다
페르시아의 아닥사스다 왕 앞에 선 느헤미야.
왕은 그의 슬픈 얼굴을 보고 물었습니다.
"왕이 내게 이르시되 네가 병이 없거늘 어찌하여 얼굴에 수색이 있느냐이는 필연 네 마음에 근심이 있음이로다그 때에 내가 크게 두려워하여"
- 느헤미야 2:2 (개역한글)
느헤미야는 용기를 내어 말했습니다.
"왕은 만세수를 하옵소서 나의 열조의 묘실 있는 성읍이이제까지 황무하고 성문이 소화되었사오니내가 어찌 얼굴에 수색이 없사오리이까"
- 느헤미야 2:3 (개역한글)
놀랍게도 왕은 그의 요청을 받아들였습니다.
성벽 재건을 위한 여행 허가와 왕의 추천서까지 내어주었습니다.
불가능한 계획의 시작
느헤미야는 먼저 밤에 성벽을 혼자 점검했습니다.
무너진 성벽, 불탄 성문을 직접 확인하며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의 계획은 파격적이었습니다:
- 모든 가문과 직업의 사람들이 함께 일한다
- 각자 자신의 집 앞 구간을 재건한다
- 무기를 든 채 작업한다
공동체의 힘
함께 일하는 용기
놀랍게도 사람들은 느헤미야의 계획에 동참했습니다.
제사장들부터 상인들, 장인들까지.
각자 자신의 구간을 성실히 재건했습니다.
"저희의 말이 일어나 건축하자 하고모두 힘을 내어 이 선한 일을 하려 하매"
- 느헤미야 2:18 (개역한글)
이것이 그들의 구호였습니다.
방해자들과의 싸움
산발랏과 도비야 같은 방해꾼들은 끊임없이 그들을 조롱하고 방해했습니다.
"이 미약한 유다 사람들의 하는 일이 무엇인가, 스스로 견고케 하려는가,제사를 드리려는가, 하루에 필역하려는가,소화된 돌을 흙 무더기에서 다시 일으키려는가"
- 느헤미야 4:2 (개역한글)
하지만 느헤미야는 말했습니다.
"하늘의 하나님이 우리로 형통케 하시리니그의 종 우리가 일어나 건축하려니와오직 너희는 예루살렘 에서 아무 기업도 없고권리도 없고 명록도 없다 하였느니라"
- 느헤미야 2:20 (개역한글)
52일 만에, 불가능해 보였던 성벽 재건이 완료되었습니다.
현대의 성벽들
우리가 마주하는 현대의 '성벽'은 무엇일까요?
- 무너진 관계 "회복 불가능해 보이는 신뢰"
- 좌절된 꿈 "다시는 일어설 수 없을 것 같은 희망"
- 내면의 상처 "치유될 수 없을 것 같은 아픔"
느헤미야가 가르쳐준 교훈
1. 절망을 기회로 전환하라
느헤미야는 절망 속에서 희망의 씨앗을 발견했습니다.
2. 혼자가 아닌 함께 일하라
모든 사람이 각자의 위치에서 힘을 모았습니다.
3. 작은 부분부터 시작하라
각자 자신의 집 앞 구간을 재건했습니다.
4. 방해꾼들을 두려워하지 마라
그들의 조롱에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성경이 전하는 메시지
"일어나 건축하자 하고 모두 힘을 내어 이 선한 일을 하려 하매"
- 느헤미야 2:18 (개역한글)
"너희는 저희를 두려워 말고 지극히 크시고 두려우신 주를 기억하고 너희 형제와 자녀와 아내와 집을 위하여 싸우라"
- 느헤미야 4:14 (개역한글)
더 깊이 알아보기
역사적 배경
느헤미야의 성벽 재건은 기원전 445년경, 바벨론 포로기 이후 유대인들의 예루살렘 귀환 시기에 일어났습니다.
당시 예루살렘은 완전히 파괴되어 있었고, 유대인들은 페르시아 제국의 포로 신분이었습니다. 성벽 재건은 단순한 건축 작업이 아니라, 민족의 정체성과 존엄성을 회복하는 상징적인 사건이었습니다.
성벽 재건의 상징적 의미
성벽은 단순한 방어 구조물이 아니었습니다:
- 도시의 안전을 상징
- 공동체의 결속력을 대변
- 민족의 존엄성을 나타내는 표지
당신의 성벽을 재건하라
지금 이 순간, 당신 앞에 서 있는 무너진 성벽은 무엇입니까?
- 좌절된 꿈
- 상처받은 관계
- 포기한 목표
- 잃어버린 자존감
느헤미야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말합니다.
불가능해 보이는 재건도, 함께라면 가능하다고.
작은 용기, 작은 희망 하나가
당신의 무너진 성벽을 다시 세울 수 있습니다.
📖 이 이야기를 성경에서 직접 읽어보시겠어요?
느헤미야의 완전한 이야기는 느헤미야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성벽 재건의 극적인 과정, 백성들과의 대화, 방해꾼들과의 갈등까지... 이 짧은 글에 담지 못한 더 많은 감동과 교훈이 성경 본문에 있습니다.
Bible Text 앱에서 느헤미야 읽기 →
광고 없는 깔끔한 환경에서 이 감동적인 이야기를 처음부터 끝까지 집중해서 읽어보세요.
📱 Bible Text 앱 곧 출시 예정!
앱이 출시되면 가장 먼저 알려드릴게요.
💭 오늘의 묵상
무너진 당신의 성벽, 혼자가 아니라 함께 재건할 수 있습니다. 어떤 작은 부분부터 시작할 수 있을까요?
Share article
앱과 관련된 소식이 있으면 가장 먼저 알려드릴게요.